박종범 기자 (pjb@playforum.net) I2022-01-20 12:32:48
http://www.playforum.net/webzine/Detailview/201143주소복사
中 정부, NFT 시장 관망...국가 주도 사업 전개 예고
텐센트, 알리바바 등 관련 산업 진출했지만 판도 재편 '불가피'
중국 정부가 NFT(대체불가능한토큰) 관련 규제는 진행하지 않고 있지만 기업 주도의 사업에는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블록체인 기업 댑레이더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NFT 이용자가 전월 대비 약 3배 증가하면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거래국이 됐다.
지난 6월 알리바바 그룹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 그룹은 자사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징탄(Jingtan)'에서 2개의 NFT 월페이퍼를 출시했으며, 텐센트는 지난 8월 NFT 거래 플랫폼 '환허(Huanhe)'를 선보였다. 최근에는 중국판 유튜브라 불리는 빌리빌리도 NFT를 발행하며 관련 시장에 진출했다.
현재 중국 빅테크 기업들은 NFT 관련 상품을 '디지털 수집품'으로 상표를 변경하면서 당국과의 잠재적인 충돌을 피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을 둔 '디지털 수집물' 시장에 경계만할 뿐 전면적인 조치는 하지 않고 있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문가들의 말을 빌려 "디지털 수집물 관련 사업은 중국에서 크게 늘어나고 있지만 중국 정부가 가상화폐처럼 전면 금지 조치는 하지 않을 것 같다"고 보도했다.
실제 중국 당국이 가상화폐를 불법으로 규정해 거래와 채굴을 엄격하게 단속하는 반면 디지털 수집물과 관련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금융 안정성과 자본 통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 암호화폐와는 결이 다르다고 판단한 것.
다만 현지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의 이같은 디지털 수집품 시장이 기업 주도로 전개될 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고 있다. 현재 중국 정부는 자신들이 후원하는 블록체인서비스네트워크(BSN)는 NFT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국가 주도로 블록체인 NFT 산업을 전개하겠다는 의미다.
BSN 글로벌 사업을 이끄는 소프트웨어 기업 레드데이트테크놀로지의 허이판 CEO는 "NFT가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로 거래되지 않는 한 중국에서 문제가 없다"며 "BSN이 중국에서 NFT 전용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인기기사 top10
-
1
지난해 美 모바일 게임 퍼즐 장르 매출 6조원...'캔 -
2
에프엑스기어, 국내 최대 정보통신기술 전시회 ‘월드 I -
3
웹젠, 유저간 대결 콘텐츠의 명가로 자리잡다 -
4
"'오버워치2'서 싹바뀐다"…더욱 빨라진 승부 예고 -
5
'WoW' 10번째 확장팩 '용군단', "아제로스로 돌 -
6
접근성 개선한 '오버프라임' 2차 CBT 모습은? -
7
中 휩쓰는 검은사막 모바일, 인기 1위 '싹쓸이' -
8
올해도 PC 원작 모바일 게임 흥행은 계속된다 -
9
리니지W, 첫 공성전 오는 24일 시작 -
10
中 인터넷 기업 자금조달 '곤두박질'...전년 대비 7
AR/VR top10
댓글 0
로그인하셔야 코멘트 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